해설시

김상옥의 「어느 날」 감상 - 최형심, 나민애

공산(空山) 2024. 2. 3. 08:43

   어느 날
   김상옥(1920~2004)
 
 
   구두를 새로 지어 딸에게 신겨주고
   저만치 가는 양을 물끄러미 바라보다
   한 생애 사무치던 일도 저리 쉽게 가것네
 
   -------------------------------------------
 
   결과만 놓고 본다면 모든 삶은 다 비극입니다왜냐하면 아무리 위대한 인간의 삶도 종국에는 죽음으로 끝날 것이기 때문입니다.
   아이를 키우는 일도 생각해보면 비슷합니다아무리 예뻐하고 애지중지 키워도 언젠가는 제 짝을 찾아 새로운 가정을 이루고 우리 곁을 떠나버릴 것이기 때문입니다그래서 인생도 아이 키우는 일도 끝을 생각하면 한없이 허무해질 수밖에 없습니다.
   하지만 우리는 모두 알고 있습니다삶도 육아도 결과가 아닌 과정이 핵심이자 전부라는 것을요그래서 소멸할 것을떠날 것을알지만 최선을 다해 살아내고 최선을 다해 사랑해주는 것입니다.
 
  최형심 (시인)
 
 
   1970년대에 발표된 초정 김상옥 시인의 시조 한 편이다짧고도 간결한 삼행시라 읽기 매끄럽다내용상 이 작품은 하나도 슬플 것이 없다새 구두와 소중한 딸이 등장하는데 슬플 이유가 무엇인가그런데 이상하게 읽으면 눈물이 난다곰곰이 생각하면 그 이유를 알 수 있다반짝거리는 구두를 신고 사뿐사뿐 경쾌하게 걸어갈 어린 딸은 주인공이 아니다이 시의 주인공은 사람이 아니라 다 지나간 한 생애이다그리고 그 생애를 채웠던 사무치던 일이다사무침이 어디 쉽게 없어질까그렇지만 시인은 그 모든 서러움을 세월 따라 흘려보내야 한다는 것을 알아버렸다그것을 알기 위해서는 마음을 깎아내고가슴을 오래 치고손발이 거칠어질 만큼의 세월이 필요했을 것이다작품이 발표되던 때의 시인은 50대였다지천명의 나이가 넘으면 나도 알게 될까사무치던 일을 마음에 박아 두지 않고 딸의 뒷모습을 보면서 흘려보낼 수 있을까이런 생각을 하게 만드는 원숙미의 작품이다.
   아직은 1그래서 2024년이라고 써야 할 자리에 자꾸 2023년이라고 적게 된다딱 1년 후에 우리는 2025년의 자리에 지나간 2024년의 이름을 적고 있을지도 모른다꼭 지나간 것들이 여운을 남긴다그렇지만 이제 1월의 마음을 끝낼 때가 되었다이미 지나간 것은 그저 지나가는 것이 맞다고 이 시가 말하고 있으니 말이다.
 
  나민애(문학평론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