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설시

신용목의 「갈대 등본」 평설 - 함기석

공산(空山) 2023. 9. 3. 19:53

   갈대 등본

   신용목

 

 

   무너진 그늘이 건너가는 염부 너머 바람이 부리는 노복들이 있다

   언젠가는 소금이 雪山처럼 일어서던 들 누추를 입고 저무는 갈대가 있다

 

   어느 가을 빈 둑을 걷다 나는 그들이 통증처럼 뱉어내는 새떼를 보았다 먼 허공에 부러진 촉 끝처럼 박혀 있었다 휘어진 몸에다 화살을 걸고 깊은 날은 갔다 모든 謀議가 한 잎 석양빛을 거느렸으니 바람에도 지층이 있다면 그들의 화석에는 저녁만이 남을 것이다

 

   내 각오는 세월의 추를 끄는 흔들림이 아니었다 초승의 낮달이 그리는 흉터처럼 바람의 목청으로 울다 허리 꺾인 家長 아버지의 뼈 속에는 바람이 있다 나는 그 바람을 다 걸어야 한다

 

    ----------------------------

 

   신용목은 바람과 햇살 사이를 떠도는 서정 시인이다그의 시는 풍경의 감각적 실감이 높고 눈길을 오래 머물게 하는 비유의 문장들이 많다시적 자아는 자주 상처와 어둠을 마주하는데 바람 또는 햇살에 섞여 나타나기 때문에 암울한 느낌만을 주지는 않는다그의 초기 시에서 바람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바람은 주로 삶의 변화 주체로 등장하여 유동성운동성을 환기시키는 역할을 한다일상의 정체된 시간들을 깨트리는 역할도 하고 고통과 슬픔의 대리물로도 사용된다바람의 발원지에 가 닿으려는 언어 표현은 근원을 추구하는 욕망의 몸짓이라는 점에서 그의 시는 기억으로의 회귀 시학성찰의 시학이라 할 수 있다.
   간혹 바람이나 햇살과 대비되는 단단한 뼈 이미지들도 나타난다바람의 유동성과 뼈의 견고함이 하나의 몸으로 결합하여 미묘하고도 낯선 서정의 풍경이 태어난다바람 속에 꽉 박혀 허공을 깨무는 '바람의 어금니이미지가 그런 예에 해당된다이처럼 시인은 자연을 이질적 결합상태로 받아들인다이는 시인에게 자연이 감각의 결에 따라 매우 다양한 무늬로 변주되는 세계임을 암시한다극단적으로 말하면 신용목의 시에서 기존의 서경(敍景)은 파괴된다자연에 속한 인간과 인간의 삶 또한 훼손된 존재다즉 그의 시세계 심층에는 자연과 융화되지 못하고 균열하는 자의식이 앙금처럼 깔려 있다이 불화의식 때문에 농부는 자연과 조화를 이루는 존재가 아니라 자연을 착취하는 존재로 그려지기도 한다. '망한 자의 시선을 가졌노라'고 시인은 고백한 적이 있다그의 시에 일몰의 장면추수가 끝난 가을 들녘적막하고 고적한 겨울 산사갈대가 있는 강변 등의 풍경이 나타나는데 이는 자연을 대하는 시인의 시선 때문이며 이런 풍경들은 대부분 배후를 거느린다즉 대상과의 불화의식이 그의 시를 기존의 서정시와 다른 층위에 위치시킨다.

   신용목의 시는 주체가 대상을 응시하는 과정(A), 그것을 언어적 풍경으로 재배열하는 과정(B), 재배치를 통해 삶을 성찰하고 사유하는 과정(C)을 단계적으로 거친다시각적 대상을 응시하는 과정은 대상과의 동화 또는 투사의 과정으로 시인은 대상이 품고 있는 기억과 상처통증과 연민 등을 섬세하게 읽어낸다표피적 관찰로 끝나지 않고 풍경의 배후까지 매우 면밀하게 탐색한다이 응시의 시선 속에 사회적 문제의식과 비판의식이 내재된다응시한 대상을 언어로 재배열하는 과정에서는 수사적 비유가 자주 사용되는데이 비유적 문장들 때문에 의미의 층은 넓어지고 감정의 세밀한 분화가 일어난다이런 의미의 확장과 감정의 분화가 시적 사유와 성찰을 유도한다.

   그의 시는 망각된 시간 또는 기억으로의 회귀를 추구하며인간의 존재에 대한 성찰을 추구한다인간을 포함한 모든 존재의 궁극적 귀환이 이루어지는 장소를 시적 성찰의 공간으로 제시하여 그곳으로 모여드는 희망 잃은 자들의 실상을 목격하게 한다생 자체가 궁극적으로 채워지지 않는 '허기의 시간'임을 상기시킨다따라서 그에게 생은 미완의 형식이자 비극적 은유고 점점 퍼져가는 안개의 숲이고 늪지다그의 시에서 비유의 결들이 복잡하게 나타나는 것은 삶을 바라보는 시인의 복합적 시선 때문이다그의 눈에 갈대의 들판은 대대로 누추한 삶을 사는 자들의 가계(家系)이다그들은 모두 패배할 수밖에 없는 삶을 사는 연민의 대상들이다부모로부터 피를 이어 내려오는 이들의 몸속을 흐르는 어둠을 시인은 웅숭깊고 따뜻하게 응시한다그것이 아름답고도 슬픈 연민의 서정을 낳고 성찰의 시학을 낳는다.

 

  함기석(시인)